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윤동주눈감고간다#윤동주#맥스글로벌마케팅
- wifi
- 2023년종합소득세
- 파이썬#전역변수#루프탈출
- 파이썬 jpg를 jpeg로
- 시인윤동주
- 향남이끄시는교회#
- 마케팅도구
- 향남이끄시는교회
- maxglobalmarketing
- 향남이끄시는교회#김상웅목사#향남교회#발안교회
- 향남교회#
- 윤동주양지쪽#윤동주#양지쪽#맥스글로벌마케팅
- Today
- Total
맥스글로벌마케팅★MGM★Max Global Marketing
▣오늘의 인물▣ 본문
넬슨 롤리랄라 만델라(영어: Nelson Rolihlahla Mandela, 1918년 7월 18일 ~ 2013년 12월 5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평등 선거 실시 후 뽑힌 세계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었다.
대통령으로 당선되기 전에 그는,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의 지도자로서 반아파르트헤이트운동 즉, 남아공 옛 백인 정권의 인종차별에 맞선 투쟁을 지도했다.
1962년 8월 5일 반역죄로 체포되었고 1964년에는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27년 만인 1990년 2월 11일에 출소했다.
1994년 실시된 평등 선거에서 ANC는 62%를 득표하여 ANC의 지도자인 넬슨 만델라는 1994년 5월 27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으로 취임하였고 진실과 화해위원회(TRC)를 결성하여 용서와 화해를 강조하는 과거사 청산을 실시했다.
또한 피해자 가족들의 요청에 따라 피해자 무덤에 비석을 세워줌으로써, 아파르트헤이트 시절의 국가폭력 피해자들이 잊히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1832년에 사망한 그의 증조부 응구벵쿠카가 오늘날의 이스턴케이프주에 있는 트란스케이 지역에서 '인코시 엔크훌루' 혹은 군주로서 템부 족을 다스렸던 추장이었다.
만델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주 트란스케이를 통치한 템부 부족의 분파에 속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임자가 백인 판사로부터 부패 혐의로 기소되자, 지역의 족장이자, 왕손이었던 그의 부친 가들라 헨리 음파카니스와가 1915년 군주의 자리에 지명을 받았다.
비트바테르스란트(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그리고 그는 재학 중 1944년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에 들어가 그 청년동맹을 설립하고, 청년동맹 집행 위원을 취임하여 반 아파르트 헤이트 운동을 벌인다.
이후 1950년, ANC 청년동맹 의장으로 취임한다.
그 해의 12월에 ANC 부의장 취임하여, 1961년 11월, 움콘트 웨 시즈웨(민족의 창)라고 하는 군사 조직을 만들어 최초의 사령관이 된다.
1964년에 국가 반역죄 종신형을 선고받아, 로벤섬에 수감되게 된다.
석방 후 ANC 부의장으로 취임한다.
1991년, ANC 의장에 취임하였고, 데 클레르크와 협력하여 모든 인종 대표가 참석한 민주 남아공화국 회의를 두 번 개최하였고, 또한 다당 협상 포럼을 열어, 임시 정부 잠정 헌법을 만들었다.
이 10월 5일, 베이징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1993년 12월 10일에 데 클레르크와 함께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1997년 12월 ANC 전당 대회에서 넬슨은 의장의 자리를 부통령 터보 음베키에게 양보한다.
2005년 1월 7일에 전처 위니와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 마카토 만델라가 에이즈에 의한 합병증으로 사망했다는 것을 공개했다.
90세를 넘어 고령 몸에 쇠약해지기 시작했으며, 2012년 12월 8일에는 폐 감염으로 인해 수도 프리토리아 병원에 입원해 있었다.
그러나 2013년 6월부터 상태가 악화되었고, 감염이 재발되어 6월 8일 다시 입원하게 되었다.
2013년 12월 6일 이희호 여사(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부인)는 김대중평화센터에서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은 전 인류에 자유와 인권,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고 영면했다”면서 “증오를 넘어 사랑의 위대한 힘을 보여줬다”라고 애도를 표했다.
1918년 7월 18일 - 트란스케이 움타타에서 템부족 족장의 아들로 태어남.
1940년 - 포트 헤어 대학에서 네덜란드 법학을 전공하던 중 학생운동을 하다가 퇴학당함.
1943년 -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에 입학.
1944년 1월 25일 - 다니얼 밀란에 의해 '아파르트헤이트'라는 용어가 남아프리카 국회에서 최초로 표명.
1953년 - 만델라는 정식 변호사가 되어 비백인(非白人)으로는 처음으로 요하네스버그에 법률상담소를 열고,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반대하는 등 본격적인 흑인인권운동에 참여하게 됨.
1956년 12월 5일 - 시민 불복종 캠페인, '자유헌장'작성등 관련해 반역죄로 체포당함.
1957년 - 남아프리카 국민당은 동등 직업에서 흑인이 백인 대신 복무할 수 없고, 계서상 백인보다 우위에 있는 자리를 맡을 수 없다는 두가지 원칙을 제안하다.
뒷날, 남아프리카 국민당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이를 계기로 만델라는 평화시위운동을 중단하고 무장투쟁 노선에 착수한다.
한편, 이무렵 만델라와 두 번째 부인 위니 사이에 둘째 딸 찐지스와가 태어났다.
1961년 3월 29일 - 반역죄 재판 종결되다.
검찰이 아프리카 국민회의의 이적성과 폭력성을 증빙하지 못했다는 판결이 내려짐.
1961년 6월 - 만델라는 무장투쟁으로 선회를 제안하고 그안이 루툴리 대장에 의해 승인되다.
1962년 8월 - 요하네스버그의 은신처로 돌아가던 중, 거주지 명령 위반 및 사보타주 혐의로 체포되다.
1962년 10월 15일 - 시나고그에서 열린 재판에 코사족 전통의상인 카로스를 착용하고 참석해 아프리카 정신을 고취하려 했다.
그러나, 판결 결과 반란선동에 대해 3년형, 허가 없는 거주지 이탈에 대해 2년의 강제노역을 선고받고 프리토리아 형무소에 수감.
1968년 - 로벤 아일랜드 감옥에서 만델라는 50세 생일을 맞았다.
1969년 5월 12일 - 만델라의 올랜도 자택에서 부인 위니 만델라가 체포, 수감되다.
1976년 - 교도소를 총 관할하는 지미 크루거가 만델라를 방문해 반투스탄 정책에 대해 회유하나 만델라는 이를 거절했다.
1988년 7월 - 넬슨 만델라는 감옥에서 70세 생일을 맞이했다.
12월 9일에는 빅토르 페르스테르 감옥 내부의 별장으로 이송되어 특별대우를 받는다.
1990년 인도 명예 바라트 라트나(honorary BR) 수훈.
1990년 2월 2일 - 의회의 개회식에서 데 클레르크는 아프리카 국민회의, 범아프리자주의자 회의, 남아프리카 공산당을 위시해 31개의 불법 조직에 대해 내려진 금지령을 철회하고, 사상범의 석방과 사형 중지를 선포한다.
2월 11일에 넬슨 만델라는 27년간의 수감 생활을 마치고 출감한다.
그 뒤 만델라는 아프리카, 인도, 유럽등을 순방한다.
1990년 6월 26일 - 미 의회 연설에서 넬슨 만델라는 아프리카 국민회의 입장을 천명하다.
1991년 7월 - 더번에서 30년만에 최초로 아프리카 국민회의 전국회의가 개최.
만델라는 만장일치로 의장에 선출된다.
1991년 12월 20일 - 민주 남아프리카를 위한 공회(CODESA)가 개최되어 정부와 아프리카 국민회의의 포럼이 시작되다.
만델라는 아파르트헤이트 폐지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
1994년 4월 27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초의 흑인 참여 자유 총선거가 실시.
65%의 압도적인 지지를 획득한 만델라는 5월 10일에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1995년 영국 명예 메리트 훈장(honorary OM) 수훈.'자유를 향한 머나먼 여정' 출간.
동시에 만델라는 아프리카 국민회의 의장에서 퇴임한다.
2002년 6월 8일 -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등 인권운동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 '프랭클린 루즈벨트 4개 자유상'을 수상하였다.
2005년 -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 출생한 외아들이자 장남인 마카토 만델라가 에이즈로 사망.
2013년 12월 5일 - 자택에서 95세를 일기로 타계.
아프리카 민족회의 (ANC)
아파르트헤이트
만델라의 아프리카 민족회의 프로필